부력 조절기
BC(Buoyancy Compensator) 혹은
BCD(Buoyancy Control Device) 라고 불립니다.
부력조절기(이하 BCD)를 착용하는 이유는
응급상황이 발생 하지 않도록 하기위함이며,
BCD에 공기를 넣어 수면에서 체력 소비를 줄이기 위함 이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체력을 너무 소비 하면 다이빙이 힘들어지겠죠.. ㅠㅠ)
또한 수중에서의 부력조절을 쉽게 하기 위하여 BCD를 이용합니다.
부력조절기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레크레이션 다이빙에서는 크게 2가지 혹은3가지로 구분 합니다.
1) 조끼형 BCD
가장 보편 적으로 사용되는 BCD이며,
가슴 앞쪽, 양 옆구리 부터 배, 등 뒤쪽까지 상반신의 거의 모든 부분에 공기가 들어가며,
착용감이 편하며, 많은 양의 공기를 넣었다 뺄수 있습니다.
상반신의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수중에서 어떠한 자세든 유연하게 취할수 있습니다.
2) 백마운트 BCD
전면에는 양쪽 어깨끈, 허리끈, 가랑이 끈으로 구성 되어지며 통틀어 하네스라고 합니다.
전면에 많은 장비를 부착 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양손이 조끼형에 비해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백마운트 BCD는 수중에서 수평자세(트림자세)를 유지하기 쉽지만 수면에서는 등뒤의 부력으로
앞으로 몸이 숙여져 서있는 자세를 유지하기에 다소 불편함이 있습니다.
3) 사이드 마운트 BCD
사이드 마운트BCD는 공기탱크를 등이 아닌 옆에 착용하며,
동굴이나 난파선등 좁은 공간을 쉽게 들어갈수 있습니다.
사이드 마운트는 저도 사용을 해보지 않아서 어떻게 글을 써야 할지 모르겠네요.. ㅠㅠ
후에 경험담이 있다면 추가로 더 적어 놓도록 하겠습니다. ^^
최근들어 붐이 일어났다고 여기저기서 많이들 이야기 하네요.
위험요소도 적지 않은것 같으니 참고 하시고요.
어떤 타입의 BCD를 선택 하는것은 중요합니다.
저는 조기형을 사용하다 백마운트로 바꾸고나서는 조끼형은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수중에서 자세를 잡고 유영하는데 있어 백마운트가 편하게 느껴지더라구요.^^
- 인플레이터
호흡기 1단계로 부터 연결된 저압호스를 열결해 BCD에 공기를 넣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BCD에 공기를 넣는 인플레이터버튼과 공기를 빼는 디플레이터버튼이 존재하며,
통틀어 인플레이터라고 말합니다.
저압호스와 연결된인플레이터는 인플레이터호스(주름관)를 거쳐 BCD안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디플레이터
BCD안의 공기를 빼내는 역할을 하며,
수면에서 하강 하기 위하여 디플레이터 버튼을 누르면서 BCD에 공기를 빼고,
출수 후 입으로 공기를 불어 넣어 부력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다이빙이 끝난 후 장비 세척시 BCD안으로 들어간 바닷물을 세척하기 위해 담수를 넣을때도 사용하게 됩니다.
- 과팽창방지 밸브
인플레이터 버튼으로 BCD에 공기를 넣는데 너무 많은 양의 공기가 들어가
BCD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하여 일정 압력이 차면
자동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이며, 덤프밸브 라고도 합니다.
조기형은 어깨쪽과 허리쪽 2개가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후면형은 허리쪽에 1개가 있는 것이 일반 적입니다.
- 블래더
BCD안에 공기주머니를 블래터 라고 합니다.
- 통합웨이트시스템(웨이트포켓)
- 가슴조절스트랩
- 허리조절스트랩
- 백플레이트
- 실린더스트랩
- D링
'스쿠버다이빙 > 이야기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쿠버 다이빙 핀(오리발) (0) | 2020.03.01 |
---|---|
스쿠버 다이빙 달톤의 법칙 (Dalton) (0) | 2020.02.29 |
스쿠버 다이빙 호흡기(레귤레이터) 설명 및 1,2단계 방식 (0) | 2020.02.29 |
스쿠버 다이빙 슈트, 후드, 장갑, 부츠 (0) | 2020.02.26 |
스쿠버 다이빙 빛의 흡수, 빛의 산란, 수중 빛 (0) | 2020.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