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쿠버다이빙/이야기나눔

(16)
스쿠버다이빙 스킨다이빙 프리다이빙 스킨스쿠버 스쿠버다이빙 스킨다이빙 프리다이빙 스킨스쿠버 스쿠버 다이빙스킨장비(다이빙 슈트, 마스크, 핀, 스노클)에 부력조절기, 호흡기, 공기탱크 등을 착용하여 물속에서 호흡하며 즐기는 다이빙을 말합니다. 스킨 다이빙수영복 혹은 다이빙슈트, 마스크(수경), 핀(오리발), 스노클 정도의 장비만 가지고 다이빙을 즐기는 것을 말합니다. 프리다이빙무호흡 다이빙 혹은 스킨다이빙 이라 부르기도 하며 스킨다이빙과 마찬가지로 슈트 마스크 핀 스노클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호흡을 멈춘 상태에서 즐기는 다이빙을 말합니다.말 그대로 프리한 다이빙이 아닐까요??? 스킨 스쿠버스킨 다이빙과 스쿠버 다이빙을 통틀어서 스킨스쿠버라 말 하는것 입니다. 하지만 스쿠버다이빙 중 장비탈착 훈련 및 교육은 수중에서 압축된 공기를 들이키고 감압없이 상승..
스쿠버 다이빙 부비동(사이너스) 부비동 부비강, 사이너스(sinus)라고 합니다. 얼굴 안면, 코 주변에 공기가 차 있는 부비동 이라는 공간이 있습니다. 1. 이마쪽의 전두동(Frontal Sinus), 2. 양눈 사이의 사골동(Ethmoid Sinus), 3. 사골동 뒤쪽의 접형동(Sphenoid Sinus), 4. 콧 구멍 뒤쪽의 상악동(Maxillary Sinus) 얼굴의 좌우로 해서 총 8개의 공간이 있습니다. 점막으로 덮여 있고, 코와 가는 관으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코와 부비동 으로 통하는 공기의 통로는 열려있으며, 물속에서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공기가 입으로 흘러들어가 자연스럽게 압력평형이 이루어 지게 됩니다. 그러나 감기나 알레르지, 염증, 감염, 컨디션에 따라 공기의 흐름이 막히게되면, 부비동의 압력평형은 ..
스쿠버 다이빙 마스크 ( 다이빙 수경 ) 마스크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진다고 볼수 있습니다. 일안식과 이안식 마스크로 나누게 되는데 (그런데 3안식 4안식도 나오더라구요 ^^;;) 렌즈 부분이 하나로 연결이 되어 있다면 일안식, 렌즈 부분이 양쪽 하나씩 되어 있다면 이안식 으로 구분 합니다. 통상 적으로 일안식이 이안식에 비해 안쪽 용량이 큽니다. 마스크의 렌즈는 플라스틱과 유리가 있는데 거의 대부분의 마스크는 강화 유리로 되어있습니다. 일반 수영장에서 물안경이 아니라 마스크를 사용하면 유리로 되어 있다면서 사용을 못하게 하는곳도 있더라구요.. ㅋ 강화유리 마스크가 스크래치가 덜나는 반면 약간 무겁고, 플라스틱 마스크는 관리 못하면 스크래치 엄청 납니다. ㅠㅠ 또 렌즈부분이 UV코팅이 되어있고, 썬그라스를 착용한 것 같이 빛을 반사 / 차단하..
스쿠버 다이빙 입수전 사전점검(장비점검) 사전점검(BWRAF) B:BCD(부력조절기) 공기가 새는 곳은 없는가? 공기주입버튼(인플레이터)을 누르면 공기가 들어가고 공기배출버튼(디플레이터)을 누르면 공기가 배출 되는가? 탱크 벨트는 올바르게 조여졌는가? W:Weight(웨이트) 적절한 무게의 웨이트를 착용했는가? 무게는 균등하게 배분 되었는가? R:Realse(해제장치)벨트는 꼭 조여 벨트는 꼭 조여 졌는가? 버틀은 가운데 위치 하는가? 신속한 해제가 가능한가? A:Air(공기) 밸브는 완전 개폐후 4/1 ~ 2/1 바퀴 잠겼는가? 주호흡기와 보조호흡기는 올바르게 작동하는가? 잔압은 충분한가? F:Final(최종) 최종적으로 전체적인 준비가 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입니다. 이때 머리부터 발끝 까지 착용한 장비들을 보며, 생각하며 확인 합니다. 후..
스쿠버 다이빙 샤를의 법칙 샤를의 법칙(Chales) 기체의 압력이 일정 할 때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바꾸어 말하면, 부피가 일정할 때 절대온도가 올라가면 기체의 압력은 정비례하여 올라간다 즉 온도에 따라 기체의 압력과 부피는 달라진다는 것 입니다. 우리가 다이빙을 나가기 위해 공기탱크(실린더)를 가지고 다이빙을 합니다. 공기탱크의 압력은 충전시 20°C에서 200bar로 충전을 했습니다. 물속에서 수온이 10°C일경우 탱크의 압력은 얼마로 바뀔까요?? 20°C에서 200bar였습니다. 200bar ÷ (20+273.15) = x ÷ (10+273.15) 이므로 191.8...bar 정도가 됩니다. 보일의 법칙 https://travelinthesea.tistory.com/3
스쿠버 다이빙 킥 의 종류 스쿠버다이빙 킥 시저 킥(scissor kick) 자유형 발차기 처럼 다리를 펴고 위 아래로 차는 킥(가위로 자르는 모양이 됨) 빨리 가고자 할때 많이 사용합니다. 다리에 힘이 많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체력소모 및 공기 사용량이 많은 단점이 있습니다. 플러터 킥(flutter kick) 무릅을 살짝 굽혔다 폈다 하며 위아래로 차는 킥(시저킥과 유사) 힘빼고, 편안하게 자유형 발차기 한다는 느낌 무릎이 살짝 구부러지나 힘이 덜듬. (개인적으로 시저킥과 플러터킥은 구분을 명학하게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플로그 킥(frog kick) 평영 킥 처럼 혹은 개구리 영법 처럼 다리를 모왔다 발목과 함께 차는킥 체력소모를 줄이고, 편안한 자세 유지를 하기 위함입니다. 트림자세에 특화된 킥이라고 할 수 있습..
스쿠버 다이빙 이퀄라이징 우선 이퀄라이징의 사전 적인 정의는 equalizing : 동등하게 하는, 균등하게 하는. 이런 뜻이 있네요. 이퀄라이징을 왜 하냐? 라면 '딱 한마디로 고막 안터질라고 해야 하죠^^' 수면에서 하강하면서 압력이 증가해, 고막이 안쪽으로 밀려들어 가게 되는데 고막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이퀄라이징을 해야하죠. 이퀄라이징은 귀의 압력평형을 맞추기 위하여 하게 되는데 정확히 중이의 압력을 환경압(다이버 주변압)으로 맞추어 주어야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됩니다. 중이에 공기가 들어갔다 나갔다 하는 유스타키오관을 통해서 우리는 귀의 압력을 맞추게 되는거죠. 유스타키오관의 역할이 바로 중이의 압력과 내 주변의 압력이 같아지도록 하는 역할 입니다. 이 외에도 이관 이라 부르기도 하며, 귀의 염증(중이염 등)..
스쿠버 다이빙 입수방법 스쿠버다이빙 입수방법 수영장, 방파제, 보트, 해안가 등지에서의 입수방법은 각기 다른 특징과 다양한 입수 방법이 있습니다. 스쿠버다이빙이나, 스노클링을 하기위한 입수방법은 동일하며, 상황과 방해물 등에 따라 입수 방법을 달리 할 수 있습니다. 입수시 BCD에 부력을 충분히 채운 후, 마스크 꼭 쓰고, 호흡기 꼭 입에 물고, (^^ 정말로 그냥입수 하시는분들 계십니다.) 오른손은 호흡기와 마스크가 벗겨지지 않도록 잡아주도록 합니다.(가볍게 잡아주는 정도...) 왼손은 몸에 붙어있는 장비나 악세사리, 혹은 게이지 등이 날리지 않도록 잡아주거나, 등뒤의 공기탱크를 잡아주는 것도 좋습니다. 시선은 입수할 위치 확인 후, 입수시에는 정면을 바라보고 입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아래를 보고 입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