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쿠버다이빙/이야기나눔

(16)
스쿠버 다이빙 신호장비 및 SMB 신호체계스쿠버다이빙의 신호 장비들은수면 혹은 수중에서 신호를 전달하고 주의를 끌도록 하는데 사용 합니다.적은 힘으로 수면, 수중에서 팀에게, 버디에게 신호를 전달하며,비상상황시 위험을 알리는 용도로 아주 중요한 장비입니다. 호루라기 혹은 휘슬수면에서 위험을 알리거나 나의 위치를 알릴때 사용합니다. 얼럿(Alert)부력조절기(BCD)의 인플레이터에 연결하여 탱크공기의 압력으로 수면 혹은 수중에서 소리를 내어 신호를 전달 합니다. 수중 서판수중에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확인 할 때 글로 써서 신호를 전달 할수 있도록 합니다. 수중 라이트수중생물을 자세히 보기 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수중에서는 빛의 양이 줄어들며, 시야가 수면보다 줄어들기 때문에 라이트를 통해버디와의 위치를 확인하기도 하며, 라이트에 따..
스쿠버 다이빙 핀(오리발) 핀(Fins) 핀을 사용하는 이유는 수중에서 효율적으로 움직이고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착용 합니다. 핀은 크게 2가지 스타일로 나누는데 풀풋과 오픈 힐 입니다. 풀풋 신발처첨 발을 넣게 되어있고 신발 사이즈의 기준으로 고를수 있고, 통상 맨발에 착용하며, 맨몸 수영이나 가벼운 차림의 상태에서 사용합나다. 다이빙시 사용을 할 경우는 조류가 약한 곳이나 큰 추친력이 필요없는 곳에서 사용 합니다. 가볍게 사용 한단 느낌일까요?? 풀풋 형 핀도 롱핀, 숏핀등 이 있으니 참고 하세요~ 오픈힐 슈즈를 신고 발을 넣은 후 스트랩으로 발 뒤꿈치를 조여 사용하며, 바다에서 다이빙시 주로 사용하는 핀입니다. 열대 바다가 아닌 곳에서는 슈트 후드 등 장비착용이 많아지고, 슈트의 부력으로 조금더 무겁게 웨이트를 착용하고 바다..
스쿠버 다이빙 달톤의 법칙 (Dalton) 달톤의 법칙(Dalton) 네이버 사전에는 압력과 온도가 같은 기체를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섞을 때에 혼합 기체의 부피는 각 성분 기체의 부피의 합과 같고, 그 압력은 각 성분 기체가 가진 압력의 합과 같다는 법칙. 1801년에 영국의 돌턴이 혼합 기체에 관하여 세운 법칙이다. 라고 나옵니다. ^^;; 조금 설명이 어려운것 같아서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각기체의 부분 압력은 그 기체가 혼합기체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에 비례한다. 즉 1기압(수면)에서 공기중 산소를 21% 질소를 79%라고 하면 산소의 부분압력은 0.21대기압 질소의 부분압력 0.79대기압 으로 표현합니다. (실제 공기중 : 질소 78.03%, 산소 20.95%, 아르곤 0.94%, 이산화탄소 0.03% 등) 수심 20M로 내려가면..
스쿠버 다이빙 부력조절기 (BC, BCD) 부력 조절기 BC(Buoyancy Compensator) 혹은 BCD(Buoyancy Control Device) 라고 불립니다. 부력조절기(이하 BCD)를 착용하는 이유는 응급상황이 발생 하지 않도록 하기위함이며, BCD에 공기를 넣어 수면에서 체력 소비를 줄이기 위함 이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체력을 너무 소비 하면 다이빙이 힘들어지겠죠.. ㅠㅠ) 또한 수중에서의 부력조절을 쉽게 하기 위하여 BCD를 이용합니다. 부력조절기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레크레이션 다이빙에서는 크게 2가지 혹은3가지로 구분 합니다. 1) 조끼형 BCD 가장 보편 적으로 사용되는 BCD이며, 가슴 앞쪽, 양 옆구리 부터 배, 등 뒤쪽까지 상반신의 거의 모든 부분에 공기가 들어가며, 착용감이 편하며, 많은 양의 공기를 ..
스쿠버 다이빙 호흡기(레귤레이터) 설명 및 1,2단계 방식 공기 공급 시스템은 실린더(공기탱크)와 레귤레이터(호흡기)를 말합니다. 레귤레이터(이하 호흡기) 호흡기는 실린더에서 나온 압축공기를 다이버의 주변압력(환경압)에 맞추어 공기를 공급 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다이버가 수중 호흡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다이버의 요구에 따라 공기를 공급하도록 만들어 졌습니다. 호흡기는 1단계와 2단계로 구분 합니다. 1단계는 공기탱그(실린더)에 연결 하는 부분 을 말하고, 공기탱크에서 나온 고압의 압축공기를 중간압력(약9~10kg/cm2, 약9~10bar)으로 조절하고, 다이버의 수심에 따라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 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1단계의 방식은 피스톤방식과 다이아프램방식으로 구분 합니다. - 피스톤 방식(Balanced Piston Type..
스쿠버 다이빙 슈트, 후드, 장갑, 부츠 슈트 우리가 입는 슈트(잠수복)는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 합니다. 흔히 건식잠수복 이라 하면 드라이슈트를 말을 하고 습식잠수복이라 하면 네오프랜으로 만들어진 잠수복을 의미 하지요.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에서의 다이빙으로 혹은 어떤 다이빙 목적에 따라서 잠수복의 형태나 종류가 나뉘겠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내 몸의 보호를 위해 잠수복을 반드시 입고 다이빙을 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많은 회사와 각종 디자인으로 엄청 많은 슈트가 판매 되고 있지만 5미터 이상의 수심에서 우리 나라에서 국내 다이빙을 주로 한다면, 5미리 이상의 슈트를 권장 하고 싶습니다. 해외 다이빙(적도 부근의 따뜻한 바다)에서 다이빙을 주로 하신다면 3미리의 슈트나, 팔다리 노출된 슈트, 등을 또한 개인적으로 수온이 25도 이상..
스쿠버 다이빙 빛의 흡수, 빛의 산란, 수중 빛 빛의 산란 태양 빛이 공기 중의 질소, 산소, 먼지 등과 같은 작은 입자들과 부딪쳐 사방으로 재방출되는 현상을 빛의 산란이라고 합니다. 태양 빛이 대기를 통하여 들어오면서 가시광선은 대기 입자들과 분자들에 의해 산란되며,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잘 일어나므로 보라색, 파랑색이 산란이 잘 일어납니다. 그러나 우리 눈은 보랏빛에 별로 민감하지 않으므로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해 질 녘, 해 뜰 녘, 하늘이 붉게 보이는 이유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은 이미 대기중에 산란을 하고, 파장이긴 붉은색이 대기까지 뚫고 들어와 산란하여 우리눈에 하늘이 붉게 보이는 것입니다. 이제 바닷속 에서 이야기를 해볼까요?? 빛의 흡수 물은 빛을 흡수하여 수중에서의 색깔에 상당한 영향을 주며, 색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다른 ..
스쿠버 다이빙 보일의 법칙 보일의 법칙 보일의 법칙(영국 자연철학자, 화학자, 물리학자인 보일에의해 1962년 발견) -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의 부피는 절대 압력과 반비례 한다. - 압력이 증가하면 부피는 감소한다. 압력이 두배 증가 하면 부피는 절반으로 감소 하게 되는 것입니다. 바다의 해수면을 기준으로 1기압으로 정하고, 수심이 10m일때 2기압, 20m일때 3기압 30m일때 4기압..... 이런 식으로 수심이 깊어질수록 압력이 증가를 하게 됩니다. 보일의법칙과 연관되어 생각해보면 다이빙을 하면서 깊은 수심으로 하강을 할수록 마스크에 압착이 오는 것을 느낄수 있는데 마스크 속의 공기가 점차 줄어들어 압착이 생기게 되는 것이죠 코로 흥 하면서 한번 공기를 뱉어내 해결을 하면 되지요^^ 또 중이의 압력이 변하여 이퀄라이징을 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