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
스쿠버 다이빙 이퀄라이징 우선 이퀄라이징의 사전 적인 정의는 equalizing : 동등하게 하는, 균등하게 하는. 이런 뜻이 있네요. 이퀄라이징을 왜 하냐? 라면 '딱 한마디로 고막 안터질라고 해야 하죠^^' 수면에서 하강하면서 압력이 증가해, 고막이 안쪽으로 밀려들어 가게 되는데 고막의 손상을 줄이기 위하여 이퀄라이징을 해야하죠. 이퀄라이징은 귀의 압력평형을 맞추기 위하여 하게 되는데 정확히 중이의 압력을 환경압(다이버 주변압)으로 맞추어 주어야 고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됩니다. 중이에 공기가 들어갔다 나갔다 하는 유스타키오관을 통해서 우리는 귀의 압력을 맞추게 되는거죠. 유스타키오관의 역할이 바로 중이의 압력과 내 주변의 압력이 같아지도록 하는 역할 입니다. 이 외에도 이관 이라 부르기도 하며, 귀의 염증(중이염 등)..
스쿠버 다이빙 입수방법 스쿠버다이빙 입수방법 수영장, 방파제, 보트, 해안가 등지에서의 입수방법은 각기 다른 특징과 다양한 입수 방법이 있습니다. 스쿠버다이빙이나, 스노클링을 하기위한 입수방법은 동일하며, 상황과 방해물 등에 따라 입수 방법을 달리 할 수 있습니다. 입수시 BCD에 부력을 충분히 채운 후, 마스크 꼭 쓰고, 호흡기 꼭 입에 물고, (^^ 정말로 그냥입수 하시는분들 계십니다.) 오른손은 호흡기와 마스크가 벗겨지지 않도록 잡아주도록 합니다.(가볍게 잡아주는 정도...) 왼손은 몸에 붙어있는 장비나 악세사리, 혹은 게이지 등이 날리지 않도록 잡아주거나, 등뒤의 공기탱크를 잡아주는 것도 좋습니다. 시선은 입수할 위치 확인 후, 입수시에는 정면을 바라보고 입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아래를 보고 입수 합니다..
스쿠버 다이빙 신호장비 및 SMB 신호체계스쿠버다이빙의 신호 장비들은수면 혹은 수중에서 신호를 전달하고 주의를 끌도록 하는데 사용 합니다.적은 힘으로 수면, 수중에서 팀에게, 버디에게 신호를 전달하며,비상상황시 위험을 알리는 용도로 아주 중요한 장비입니다. 호루라기 혹은 휘슬수면에서 위험을 알리거나 나의 위치를 알릴때 사용합니다. 얼럿(Alert)부력조절기(BCD)의 인플레이터에 연결하여 탱크공기의 압력으로 수면 혹은 수중에서 소리를 내어 신호를 전달 합니다. 수중 서판수중에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확인 할 때 글로 써서 신호를 전달 할수 있도록 합니다. 수중 라이트수중생물을 자세히 보기 위하여 사용하기도 하지만,수중에서는 빛의 양이 줄어들며, 시야가 수면보다 줄어들기 때문에 라이트를 통해버디와의 위치를 확인하기도 하며, 라이트에 따..
스쿠버 다이빙 핀(오리발) 핀(Fins) 핀을 사용하는 이유는 수중에서 효율적으로 움직이고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착용 합니다. 핀은 크게 2가지 스타일로 나누는데 풀풋과 오픈 힐 입니다. 풀풋 신발처첨 발을 넣게 되어있고 신발 사이즈의 기준으로 고를수 있고, 통상 맨발에 착용하며, 맨몸 수영이나 가벼운 차림의 상태에서 사용합나다. 다이빙시 사용을 할 경우는 조류가 약한 곳이나 큰 추친력이 필요없는 곳에서 사용 합니다. 가볍게 사용 한단 느낌일까요?? 풀풋 형 핀도 롱핀, 숏핀등 이 있으니 참고 하세요~ 오픈힐 슈즈를 신고 발을 넣은 후 스트랩으로 발 뒤꿈치를 조여 사용하며, 바다에서 다이빙시 주로 사용하는 핀입니다. 열대 바다가 아닌 곳에서는 슈트 후드 등 장비착용이 많아지고, 슈트의 부력으로 조금더 무겁게 웨이트를 착용하고 바다..
스쿠버 다이빙 달톤의 법칙 (Dalton) 달톤의 법칙(Dalton) 네이버 사전에는 압력과 온도가 같은 기체를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섞을 때에 혼합 기체의 부피는 각 성분 기체의 부피의 합과 같고, 그 압력은 각 성분 기체가 가진 압력의 합과 같다는 법칙. 1801년에 영국의 돌턴이 혼합 기체에 관하여 세운 법칙이다. 라고 나옵니다. ^^;; 조금 설명이 어려운것 같아서 같은 온도, 같은 압력에서 각기체의 부분 압력은 그 기체가 혼합기체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에 비례한다. 즉 1기압(수면)에서 공기중 산소를 21% 질소를 79%라고 하면 산소의 부분압력은 0.21대기압 질소의 부분압력 0.79대기압 으로 표현합니다. (실제 공기중 : 질소 78.03%, 산소 20.95%, 아르곤 0.94%, 이산화탄소 0.03% 등) 수심 20M로 내려가면..
스쿠버 다이빙 부력조절기 (BC, BCD) 부력 조절기 BC(Buoyancy Compensator) 혹은 BCD(Buoyancy Control Device) 라고 불립니다. 부력조절기(이하 BCD)를 착용하는 이유는 응급상황이 발생 하지 않도록 하기위함이며, BCD에 공기를 넣어 수면에서 체력 소비를 줄이기 위함 이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체력을 너무 소비 하면 다이빙이 힘들어지겠죠.. ㅠㅠ) 또한 수중에서의 부력조절을 쉽게 하기 위하여 BCD를 이용합니다. 부력조절기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레크레이션 다이빙에서는 크게 2가지 혹은3가지로 구분 합니다. 1) 조끼형 BCD 가장 보편 적으로 사용되는 BCD이며, 가슴 앞쪽, 양 옆구리 부터 배, 등 뒤쪽까지 상반신의 거의 모든 부분에 공기가 들어가며, 착용감이 편하며, 많은 양의 공기를 ..
스쿠버 다이빙 호흡기(레귤레이터) 설명 및 1,2단계 방식 공기 공급 시스템은 실린더(공기탱크)와 레귤레이터(호흡기)를 말합니다. 레귤레이터(이하 호흡기) 호흡기는 실린더에서 나온 압축공기를 다이버의 주변압력(환경압)에 맞추어 공기를 공급 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다이버가 수중 호흡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다이버의 요구에 따라 공기를 공급하도록 만들어 졌습니다. 호흡기는 1단계와 2단계로 구분 합니다. 1단계는 공기탱그(실린더)에 연결 하는 부분 을 말하고, 공기탱크에서 나온 고압의 압축공기를 중간압력(약9~10kg/cm2, 약9~10bar)으로 조절하고, 다이버의 수심에 따라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 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1단계의 방식은 피스톤방식과 다이아프램방식으로 구분 합니다. - 피스톤 방식(Balanced Piston Type..
스쿠버 다이빙 슈트, 후드, 장갑, 부츠 슈트 우리가 입는 슈트(잠수복)는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 합니다. 흔히 건식잠수복 이라 하면 드라이슈트를 말을 하고 습식잠수복이라 하면 네오프랜으로 만들어진 잠수복을 의미 하지요. 따뜻한 물과 차가운 물에서의 다이빙으로 혹은 어떤 다이빙 목적에 따라서 잠수복의 형태나 종류가 나뉘겠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내 몸의 보호를 위해 잠수복을 반드시 입고 다이빙을 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많은 회사와 각종 디자인으로 엄청 많은 슈트가 판매 되고 있지만 5미터 이상의 수심에서 우리 나라에서 국내 다이빙을 주로 한다면, 5미리 이상의 슈트를 권장 하고 싶습니다. 해외 다이빙(적도 부근의 따뜻한 바다)에서 다이빙을 주로 하신다면 3미리의 슈트나, 팔다리 노출된 슈트, 등을 또한 개인적으로 수온이 25도 이상..